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물가 오르는데 정기예금 3%? 실질 수익 계산해보셨나요?
    카테고리 없음 2025. 6. 29. 09:20
    반응형

    물가 오르는데 정기예금 3%? 실질 수익 계산해보셨나요?

    728x90

    많은 사람들이 재테크의 첫걸음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로 정기예금입니다. 안정적인 이자 수익과 원금 보장이 매력적으로 느껴지기 때문이죠. 하지만 지금 같은 고물가 시대에 과연 정기예금 3%의 이율이 실제로 자산을 불려주는 수단이 될 수 있을까요?
    결론부터 말하자면, 물가상승률이 정기예금 이자율보다 높다면 오히려 자산이 줄어들고 있는 것과 다름없습니다. 오늘은 이 내용을 정확한 계산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.


    ✅ 실질 수익률이란?

    **실질 수익률(Real Interest Rate)**은 명목 수익률(예: 정기예금 금리)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값입니다.
    즉, 예금으로 이자 3%를 받았더라도, **물가가 4% 올랐다면 실질 수익률은 -1%**입니다.실질 수익률 = 명목 수익률 - 물가상승률

    이 말은 곧, 정기예금에 돈을 묶어놓는 동안 자산의 실제 구매력이 떨어진다는 뜻입니다.
    쉽게 말해, 지금 1,000만 원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이 1년 후에는 1,040만 원이 되지만, 예금 이자는 1,030만 원만 되어 실제로는 10만 원 손해를 본 셈입니다.


     실제 예로 계산해보자

    • 정기예금 금리: 3%
    • 물가상승률(CPI 기준): 연 4.2%
    • 예치금액: 1,000만 원

    1년 후 원금 + 이자 = 1,030만 원
    물가상승 반영 구매력 기준 가치 = 약 989만 원

    즉, 이자까지 포함한 자산의 실제 구매력은 줄어든 것입니다.


     예금만 고집하면 자산은 ‘조용히’ 줄어든다

    물가 상승률이 12%대이던 과거와 달리, 최근은 **56%까지 오르기도 하는 고물가 시대**입니다.
    그런 상황에서 은행 예금 금리가 아무리 3%를 넘어도, 실질 수익률은 마이너스일 가능성이 높습니다.

    항목수치
    예금 금리 3.0%
    물가상승률 4.2%
    실질 수익률 -1.2%
    자산 실질가치 변화 하락
     

     실질 수익률을 지키는 대안은?

    1️⃣ 저축 + 투자 병행

    정기예금으로 안전한 비상자금을 마련하되, 나머지 자금은 ETF, 배당주, 리츠, 금 투자 등으로 분산하세요.
    이자보다 물가상승률을 상회하는 수익률을 목표로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

    2️⃣ 물가연동 상품 활용

    정부에서 판매하는 물가연동 국채, 또는 일부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인플레이션 연계 상품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.

    3️⃣ 실생활에서 절약이 곧 수익

    물가가 오르는 만큼, 소비 패턴을 점검하고 대체 소비 구조로 전환하는 것도 중요한 자산 방어 전략입니다.
    (예: 외식 줄이기 → 집밥, 택시 → 대중교통)


     예금은 안전하지만, 수익은 보장하지 않는다

    정기예금은 원금 보장과 안정성은 있지만, 물가상승에 대응하는 능력은 떨어집니다.
    요즘 같은 고물가 시대에는 오히려 ‘돈이 자는 통장’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.


    ✅ 마무리: 내 자산, 숫자가 아닌 ‘가치’로 봐라

    통장에 숫자가 늘어나는 것도 중요하지만, 그 돈으로 무엇을 살 수 있는지가 진짜 자산의 기준입니다.
    정기예금 3% 이자를 받으며 안심하기보다는, 실질 수익률을 따져보고 현명한 분산 전략을 세워야 할 때입니다.
    오늘 내 돈의 ‘가치’를 다시 한번 점검해보세요.


     

    728x90
    반응형
Designed by Tistory.